
1. 출발과 배경
복음주의 (Evangelicalism)
18~19세기 부흥운동(Great Awakenings)과 경건주의, 감리교 운동, 선교 운동 등에서 형성됨.
다양한 교단과 전통을 포괄하는 초교파적 성향.
‘개인적 구원’과 ‘복음 전파’에 집중한 운동 중심.
개혁주의 (Reformed Theology)
16세기 종교개혁, 특히 존 칼빈과 제네바 전통에 뿌리를 둠.
교회 정치, 신학, 예배, 윤리에 이르기까지 전체 삶의 질서를 포함하는 깊은 전통.
칼빈주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등 체계적인 교리 중심.
2. 신학적 기초와 강조점
항목복음주의개혁주의
|
성경 | 하나님의 말씀, 개인적 묵상 강조 | 하나님의 말씀, 언약과 전체 구속사 강조 |
구원론 | 회개와 믿음을 통한 ‘개인의 회심’ 강조 | 하나님의 ‘선택과 예정’에 기초한 구원 이해 |
신론 | 인격적인 하나님, 구속 중심 | 하나님의 절대주권과 영광 중심 |
삶의 목적 | 구원받고 복음을 전하는 것 |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전인격적 삶 (Soli Deo Gloria) |
3. 예배와 교회관
복음주의
감정적, 체험 중심 예배를 중시
다양한 형식(찬양집회, 자유기도 등)에 유연
교회는 복음을 선포하고 전도하는 곳
개혁주의
4. 구원 이해의 방식
항목복음주의개혁주의
|
중심 개념 | 회심 (Conversion) | 예정 (Predestination) |
강조점 | 내가 예수님을 믿는 순간 구원 | 하나님이 택하신 자에게 은혜로 주시는 구원 |
인간의 역할 | 자유의지로 회개와 결단 | 전적인 타락으로 인해 하나님의 일방적 은혜 필요 |
5. 세상과 문화에 대한 시각
복음주의
개혁주의
모든 영역(경제, 정치, 교육 등)은 하나님의 주권 아래 있음
문화는 하나님 나라의 영역으로 ‘변혁’의 대상
**“세상 속에서 하나님 나라를 세우는 것”**이 목표
6. 요약 정리표
항목복음주의 신학개혁주의 신학
|
출발 시기 | 18세기 이후 부흥운동 | 16세기 종교개혁 (칼빈 중심) |
신학 중심 | 회심, 개인적 구원, 복음 전파 | 하나님의 주권, 언약, 예정 |
구원론 | 자유의지를 통한 회개와 믿음 | 하나님의 선택과 은혜로 인한 구원 |
예배 스타일 | 자유롭고 감정적인 예배 | 전통적이고 질서 있는 예배 |
교회관 | 복음 전파의 공동체 | 언약 백성의 예배 공동체 |
문화관 | 복음화 대상 | 하나님의 통치 아래 ‘변혁’ 대상 |
대표 인물 | 빌리 그래함, 존 스토트 | 존 칼빈, 아브라함 카이퍼, 조나단 에드워즈 |
결론: 복음주의와 개혁주의, 어느 쪽이 옳은가?
둘 다 성경 중심의 신학이지만,
많은 개혁주의 신학자들도 복음주의적 열정을 지니고 있고, 복음주의자 중에도 개혁주의 색채를 띠는 경우가 있습니다. 둘은 반대 개념이 아니라, 중심축과 강조점이 다를 뿐이죠.
한 손에 복음을, 다른 손에 진리를 붙들며,
가슴엔 열정을, 머리엔 질서를 품는 신학.
우리는 이 둘의 조화 속에서 진리와 삶의 균형을 추구해야 합니다.
1. 출발과 배경
복음주의 (Evangelicalism)
18~19세기 부흥운동(Great Awakenings)과 경건주의, 감리교 운동, 선교 운동 등에서 형성됨.
다양한 교단과 전통을 포괄하는 초교파적 성향.
‘개인적 구원’과 ‘복음 전파’에 집중한 운동 중심.
개혁주의 (Reformed Theology)
16세기 종교개혁, 특히 존 칼빈과 제네바 전통에 뿌리를 둠.
교회 정치, 신학, 예배, 윤리에 이르기까지 전체 삶의 질서를 포함하는 깊은 전통.
칼빈주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등 체계적인 교리 중심.
2. 신학적 기초와 강조점
항목복음주의개혁주의
3. 예배와 교회관
복음주의
감정적, 체험 중심 예배를 중시
다양한 형식(찬양집회, 자유기도 등)에 유연
교회는 복음을 선포하고 전도하는 곳
개혁주의
정해진 전통 예전과 설교 중심 예배
감정보다는 질서와 진리의 전달 중시
교회는 언약 공동체이며, 성례와 말씀 중심의 예배 공동체
4. 구원 이해의 방식
항목복음주의개혁주의
5. 세상과 문화에 대한 시각
복음주의
세상 속으로 들어가 복음을 전함 (미디어, 정치, 문화 참여 적극적)
문화는 복음화의 대상
“영혼 구원”이 우선 목표
개혁주의
모든 영역(경제, 정치, 교육 등)은 하나님의 주권 아래 있음
문화는 하나님 나라의 영역으로 ‘변혁’의 대상
**“세상 속에서 하나님 나라를 세우는 것”**이 목표
6. 요약 정리표
항목복음주의 신학개혁주의 신학
결론: 복음주의와 개혁주의, 어느 쪽이 옳은가?
둘 다 성경 중심의 신학이지만,
**복음주의는 "구원의 불을 전 세계로 퍼뜨리려는 열정" **이라면,
**개혁주의는 "하나님 나라의 기초를 깊고 넓게 닦으려는 체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개혁주의 신학자들도 복음주의적 열정을 지니고 있고, 복음주의자 중에도 개혁주의 색채를 띠는 경우가 있습니다. 둘은 반대 개념이 아니라, 중심축과 강조점이 다를 뿐이죠.
한 손에 복음을, 다른 손에 진리를 붙들며,
가슴엔 열정을, 머리엔 질서를 품는 신학.
우리는 이 둘의 조화 속에서 진리와 삶의 균형을 추구해야 합니다.